본문 바로가기

군 입대 각종 정보

군무원과 공무원의 차이

반응형

군무원과 공무원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한글자 차이인데 정말 엄청난 차이가 있습니다

일단 군무원에 대해서는 많이 알려진 것이 없습니다. 대부분 군관계자 가족들이 지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공무원은 모두 아는데 군무원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군무원과 공무원의 차이

군무원은 무엇인가?

쉽게 말하면 군무원은 군에서 근무하는 국가공무원입니다.

군에서 신분을 나누자면 장교, 준사관, 부사관, 병사 그리고 군무원이 있지요.

군무원 안에서도 여러가지로 분류가 됩니다

 

군무원의 분류

군무원은 크게 일반군무원, 기능군무원, 별정군무원, 계약직군무원으로 나뉘는데요 공무원과 비슷하지요

일반군무원 기능군무원 별정군무원 계약군무원
행정직, 군수직
정보직, 전기직
행정, 군수, 농림, 보건위생
시설, 통신, 기술지원
교관, 예비군관리
항공조종 등
전문인력이 필요시 고용
공무원과 크게 다르지 않고
군에서 직군에 맞는 업무 담당
일반 군무원과 다르게
행정, 기술의 전문적인
업무를 담당
담당 업무가 없어지면
그만두어야 함
계약기간이 정해져 있어
정년 보장이 어려울수 있음

 

최근에는 명칭이 변경되어 일반군무원, 전문군무령력관, 임기제군무원 3가지 명칭으로 선발을 하고 있습니다

세부적으로 보면 변경된 사항들이 있지만 기본적인 개념은 크게 변하지 않았습니다.

군무원은 아직까지는 뽑는 기관에 따라 소속이 정해지는데요

국방부에서 선발하는 국직군무원, 각 군에서 선발하는 육군 군무원, 공군 군무원, 해군 군무원이 있습니다

국방부에서 선발시에는 모든 군에서 근무할 군무원을 공개경쟁/경력경쟁 채용으로 1년에 한번씩 선발 하고 있습니다

전문군무경력관과 임기제군무원은 경력직으로 수시로 선발이 올라오고 있습니다

 

국방부 군무원 채용 사이트 바로가기

 

 

군무원과 군인은 무엇이 다른가?

우선 신분이 다르기에 현역 장교, 부사관, 병사 처럼 딱딱한 계급체계에서 약간은 벗어나 있습니다

그래서 상호 존칭을 사용하게 되어있습니다

물론 급수에 비교하여 장교, 부사관의 계급을 연결시켜 놓았지만 그것이 상/하급자의 개념은 아닙니다

신분이 다르기에 하는 일도 당연히 다릅니다

현역 군인과 다르게 전투복을 입지 않고 당연히 총기도 없습니다. (훈련이나 전시상황에 입는 민방위복은 있습니다.)

전시에도 동일하게 지원업무를 하기위해 생존성을 보장받기 위한 방독면은 지급받습니다.

하는일은 군무원의 분류에서 보신바와 같이 대부분 행정, 군수, 정비등 기술적인 지원업무를 담당합니다.

훈련기간에 현역과 같이 훈련을 진행하지만 위장을 하고 전술훈련에 들어가는 일은 없습니다.

 

군무원의 계급은?

공무원과 동일하게 9급 부터 1급까지 존재합니다. 

전문군무경력관은 가, 나, 다군으로 분류가 되고 임용되면 진급은 되지 않고 호봉만 늘어나게 됩니다

각각 4~5급 대우, 6~7급 대우, 8~9급 대우를 받습니다

임기제 군무원은 급수가 명시되어있고 진급을 할수 없습니다.(계약직)

일반군무원 9급이나 7급으로 채용되게 되면 연차가 채워지면서 진급을 할수가 있습니다

일찍 채용되어 열심히 하면 7급에서 2급까지도 진급이 가능합니다.

군무원의 복지?

현역과 동일하게 PX를 이용할수 있습니다. 군에서 운용하는 휴양시설을 이용할수도 있습니다.

현역과 동일하게 군 병원에서 무료로 진료는 받을수 있지만 약값은 지원해주지 않습니다.

군에서 지원해주는 관사는 지역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지방도시에서 근무하는 군무원분들은

관사지원이 많이 되는편 이지만, 최전방 현역 관사도 부족한 곳이나, 서울 경기 지방에서는

관사를 지원받기가 거의 불가능합니다.

 

앞으로도 군무원의 복지혜택이 현역과 동일하게 되는날이 오기를 기대해 봅니다